【건강다이제스트 | 건국대병원 심장혈관내과 황흥곤 교수】
최근 고혈압의 정의가 바뀌었다. 한국 고혈압학회나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장 권위가 있고 영향력이 큰 미국고혈압학회가 고혈압의 기준을 130/80mmHg으로 정한 것이다.
2017년까지 고혈압은 수축기혈압 140mmHg, 이완기혈압 90mmHg 이상으로 정의하였고, 정상혈압을 120/80mmHg로 규정했다. 혈압이 그 사이의 수치를 갖는 경우 고혈압 전단계라고 하였고, 140/90mmHg 이상일 때 치료를 시작했다.
따라서 혈압을 관리하려면 우선 정상혈압에 대한 정의부터 알아야 한다. 정상혈압은 과연 무엇일까?
의학적으로 정상이라 함은 유해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정하게 된다. 혈압에서도 일정 수치 이상으로 오를 때 합병증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경우 그 시점을 정상으로 정하는데 140/90 mmHg에서 급속히 증가하여 고혈압으로 정의하고 치료를 권하는 것이다.
그러나 나이에 따라, 심부전이나 신기능 장애 또는 동맥경화성 질환 등 동반질환에 따라 치료 시점은 달라진다. 미국고혈압학회가 고혈압 기준을 130/80mmHg로 정한 것도 이를 기점으로 치료하는 것이 유익하다는 여러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고혈압 환자임에도 혈압이 높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전체 고혈압 치료 대상 환자의 반에 이르고, 치료를 함에도 목표혈압을 달성하지 못한 환자가 그중 반 정도가 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고혈압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중요하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고혈압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정보가 있어 이번 기회에 바로잡았으면 한다.
첫째, 혈압 약을 한 번 먹게 되면 평생 먹어야 한다면서 고혈압 약제를 기피하는 경우가 있는데 고혈압 약은 고혈압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혈압을 조절하는 것이다. 또, 혈압은 나이가 들수록 계속 높아지는 것이기에 일시적인 상황이 아니라면 고혈압 약은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기, 폐렴, 골절과 같이 항생제나 수술로 완치가 되는 것이 아니라 계속적인 약물로 혈압을 정상으로 유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만성적인 병이라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둘째, 환자 중에는 혈압이 높아도 아무런 불편이나 증상이 없어 혈압을 치료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 경우가 있어 치료의 순응도가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고혈압 환자의 절반 미만에서만 두통이나 호흡곤란 등 증상이 있을 뿐, 대개의 경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고혈압을 치료해야 할까? 혈압이 높아져 순간적으로 뇌출혈 등의 급성 부작용도 발생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동맥경화증, 심부전, 신장기능장애 및 시력장애 등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혈압 환자에서 이와 같은 합병증이 있는지 검사로서 확인하고 또 투약 중에도 정기적으로 검사를 해야 한다.
새롭게 낮아진 고혈압 기준은 혈압 치료의 중요성을 재삼 강조한 것임을 꼭 기억해야 할 것이다.
황흥곤 교수는 한국인 최초로 미국 아칸소 심장센터의 초청을 받아 관상동맥완전폐쇄병변의 중재시술을 시연했으며, 중국 내 20여개의 도시 병원에서 다양한 심혈관 중재시술을 선보이는 등 국내외적으로 심혈관 중재적 치료와 연구의 대가로 알려져 있다. 대한심혈관중재학회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으며. 현재 건국대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로 진료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