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를 얻고도 건강을 잃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정기구독 02-702-6333

[하나현의 행복테라피] ‘아싸’가 뭔가요?

2018년 10월 건강다이제스트 결실호 104p

【건강다이제스트 | 정신과 전문의 하나현 원장】

“저는 혼자가 편해요. 혼밥(혼자 밥먹기), 혼술(혼자 술먹기), 혼영(혼자 영화보기), 혼자 놀기 달인이에요.” 이전에는 외톨이가 된 기분을 하소연하는 사람이 많았는데 요즘엔 오히려 자발적으로 자신을 소외시키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 같다. 스스로를 ‘아싸’라고 부르면서 말이다. ‘아싸’가 뭐길래?

자발적 아웃사이더 ‘아싸’

‘아싸’란 ‘아웃사이더’의 줄임말로 사람들과 어울리지 않고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사람을 말한다. 이전에는 이 용어가 ‘왕따’ 비슷한 의미로 부정적으로 많이 쓰였지만 지금은 보편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개인주의가 만연한데다 인간관계에 대한 회의감이나 피로감을 느끼고 자발적으로 관계에서 멀어지는 이른바 ‘자발적 아싸’를 외치기도 한다.

자발적 아싸가 되는 이유는 사람마다 다르다. 한 조사에 따르면 대학생들의 경우 45% 정도가 자신은 자발적 아싸라고 말하는데, 큰 이유 중 하나는 취업난이다. 바늘구멍 같은 취업의 문을 통과하기 위해 영어공부, 자격증 등 스펙을 만들기 위해 아예 대학생활에는 관심이 없고 취업준비에 열중하는 것이다. 또 사람 만나는 게 피곤하고 불필요한 감정을 소모하는 것보다 혼자가 더 좋다며 여유 없는 일상에 지쳐 혼자 보내는 시간을 더 좋아하기도 한다.

직장인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10명 중 3~4명이 자신은 아웃사이더라고 생각하고 있고, 이 중 한 명은 자발적 아웃사이더라고 자청한다. 왜 그렇게 되는지 살펴봤더니 직장 동료들과 관심사가 달라서, 혼자가 편하고 익숙해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어서, 점심·회식 등의 비용이 부담스러워서 그렇단다.

‘아싸’에 반대되는 말은 ‘인싸이드’(일명 ‘인싸’)인데, 이는 행사, 모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관계를 지속하는 사람을 말한다.

인간관계가 좋고 외향적인 성향에 자신을 표현하는 걸 잘한다. 학교나 조직에서는 이런 사람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그렇지 않은 사람을 문제가 있는 듯이 바라보기도 한다. 현대사회에서는 자기 표현능력과 토론 능력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그렇지 않을 경우 점수를 낮게 주는 분위기다.

그렇다면 꼭 ‘인싸’가 되어야 할까? 사람은 저마다 다른 성향을 가지고 있고 상황이나 시대에 따라 사람들은 다른 모습을 나타내는 데 말이다.

‘인싸’도 ‘아싸’도 삶의 방식일 뿐~

관계를 통해 즐거움을 얻는 이들은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하는 경험, 또는 목적의식이 있는 뭔가를 하거나 긍정적인 결과를 얻는 것에서 행복을 느낀다. 운동이나 업무 그리고 공부할 때도 누군가와 함께할 때 더 즐거움을 느낀다. 정기적인 모임을 갖는 것,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과 왁자지껄한 술자리를 갖는 것, 우연히 만난 사람들과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반면, 외부 환경보다는 자신의 내적 환경에 관심을 더 많이 두는 사람들도 있다. ‘아싸’처럼 보이기도 하는 이들은 심리적 에너지를 보존하려고 하기 때문에 사색을 좋아하고, 조용하고, 때론 초연해지기도 한다. 소수의 친밀한 사람과 보낸 시간이 더 소중하게 여겨진다.

조용한 벤치나 카페에 앉아 대화를 나누는 것, 혹은 꼭 대화를 하지 않더라도 함께 있는 것을 통해 많은 행복을 경험하는 이들도 있다. 외톨이처럼 보일 수는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주변에 관심도 많고, 다른 사람의 마음도 잘 이해한다. 내가 다른 사람에게 거절당하거나 상처받는 게 싫기 때문에 본인이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는 것을 조심한다.

<소심해서 좋다>라는 책에서는 이렇게 이야기한다. “성격이란 공통된 성질끼리 묶어 경계를 나눈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성격이 개인의 모든 모습을 대변할 수 없으며, 이는 처한 상황에 따라 달리 나타날 수 있다. 친구들과 놀 때, 회사에 있을 때, 낯선 병원에 갈 때, 동생과 싸울 때, 데이트를 할 때, 어떤 모임에서 자기소개를 할 때, 홀로 샤워를 할 때, 우리는 각기 다른 모습을 지닌다. 고로 더 좋고 나쁜 성격은 없다. 그 안의 여러 요소들이 상황에 따라 달리 발현될 뿐이다. 내 장점이 누군가에겐 단점이 될 수 있고, 이 장면에서의 부족한 면이 다른 장면에서는 필요한 면이 될 수 있다.”라고 했다.

고립된 삶이 정답도 아니지만 수많은 사람과 분주히 만나는 삶이 유일한 정답도 아닐 것이다. 모두가 다 주도적인 사람이 되고 연설가가 되고 세일즈맨이 될 수는 없는 것이다. 자기 자신에게 맞는 적당한 일을 찾고, 대신 소통할 수 있는 좁지만 깊은 관계를 두면 된다. 천 명의 사람에게는 천 가지 삶의 방식이 있는 것이다. 그것을 인정할 때 우리의 삶도 조금은 더 나아질 것이다.

하나현 원장은 현재 글로벌사이버대학교 뇌기반감정코칭학과 전임교수이자, 브레인트레이닝 심리상담센터 압구정점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뇌를 활용한 감정코칭을 통해 사람들이 스스로를 힐링하고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법을 알려주고 있다.

<저작권자 © 건강다이제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기사

  • [하나현의 행복테라피] 아주 작은 전략으로 작심 365일 만들기

    2019년 02월호 98p

    【건강다이제스트 | 정신과 전문의 하나현 원장】 2018년이 지나갔다. 개인적으로 2018년은 도저히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고통스러울 정도의 힘든 해였다. “고통을 이겨낸 만큼 성장한다.”는 말을 너무 많이 한 탓일까. 누군가에게 따뜻하게 건넨다고 건넨 그 위로의 말이 당사자가 되었을 때는 또 다르게 들릴 수 있다는 걸 알았다. 하지만 다행히도 시간은 지나고 영원한 고통은 없듯이 필자에게 온 고통의 시간도 아물어간다.

  • [하나현의 행복테라피] 마음의 상처로 울컥할 때 대처법 3가지

    2018년 12월 건강다이제스트 감사호 64p

    【건강다이제스트 | 정신과 전문의 하나현 원장】 혓바늘이라는 것을 경험해 본 적이 한두 번은 있을 것이다. 필자도 혓바늘이 돋아서 고생한 적이 있다. 좀 심하게 난 탓인지 말할 때마다 이에 걸려 찌릿찌릿 온 뇌를 진동시키는 듯했다. 이가 닿지 않게 하기 위해 입을 살짝 벌리고 있으려니 침이 새어나오고 입을 닫고 있자니 1초 1초가 괴로웠다. 하루 종일 온 신경이

  • [하나현의 행복테라피] 무기력하고 우울할 때 “햇볕이 필요해!”

    2018년 11월 건강다이제스트 행복호 94p

    【건강다이제스트 | 정신과 전문의 하나현 원장】 “선생님, 날씨가 추워지니까 잠만 자고 싶고 아무것도 하기 싫어요. 이건 우울증이 아니죠?” 날씨가 싸늘해지면서 무기력감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스스로 잘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지만 계절의 변화와 함께 기분의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다면 한 번쯤은 계절성 우울증을 의심해 볼 만하다. 계절성 우울증이란 이름 그대로 계절적인 흐름을 타는 우울증의 한 형태이다.

  • [이승남 박사의 건강제안] 잠 많이 잘수록 미인이 된다고?

    2018년 10월 건강다이제스트 결실호 10p

    【건강다이제스트 | 강남베스트의원 이승남 박사】 잠자는 숲 속의 백설공주가 미인인 까닭은 왕비가 준 사과 속의 독으로 오랫동안 잠을 잤기 때문에 예뻐진 것일까? 동화 속에서처럼 잠을 오랫동안 자게 되면 햇빛을 쬐지 못하기 때문에 피부는 하얗고 기미나 잡티는 없을 수 있기에 피부 노화가 거의 생기지 않는다. 피부 노화의 주범이 자외선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햇빛을 오랫동안 안 쬐면 비타민

  • [박민선 교수의 건강제안] 하루 10분 햇볕은 ‘혈관노화 예방약’

    2018년 10월 건강다이제스트 결실호 12p

    【건강다이제스트 |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민선 교수】 우리 조상들은 갓난아기가 태어나 3~7일이 지나면 아기에게 조금씩 햇볕을 쬐어주곤 했다. 또한, 예전에는 수렵·채집을 통해 햇볕을 받으며 몸을 움직여야만 생존할 수 있었다. 우리는 공기의 소중함을 모르듯 항상 우리를 따뜻하게 비추는 햇볕의 소중함은 잊고 산다. 기본적으로 햇볕은 몸을 따뜻하게 해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액순환을 도와 몸의 모든 세포의 재생을 도와준다.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