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다이제스트 | 정유경 기자】
【도움말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안과 강승범 교수】
백내장 흔한 60대 이상
우리는 눈을 통해서 빛을 보게 됩니다. 이는 곧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온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빛을 인지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경로를 따라야 하는데 눈앞에서부터 눈물층, 각막, 수정체, 유리체를 순서대로 지나 최종적으로는 망막의 광수용체세포를 자극하게 됩니다. 따라서 망막 앞의 구조물들이 투명해야 온전한 빛을 망막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60대 이상은 백내장 환자가 흔합니다. 백내장은 눈 구조물 중 수정체가 노화, 스테로이드 등의 약제 사용, 외상, 눈 수술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앞서 말한 투명성을 잃는 경우를 말합니다. 혼탁이 아주 심해지면 겉으로 보기에도 눈동자가 하얗게 보여 백내장으로 불립니다.
투명해야 할 수정체가 혼탁해지기 시작하면 ‘안개 낀 것 같다.’, ‘눈이 부시다.’, ‘두 개로 보인다.’ 등 다양한 증상을 불러옵니다.
백내장의 궁극적인 치료는 결국 수술입니다. 수정체의 직경은 10mm 가까이 되어 과거에는 수정체 제거를 위해 눈에 큰 절개창을 내야 했지만 최신 백내장 수술은 2.2~2.8mm 크기의 절개창만으로 수정체 내용물을 제거하고 인공수정체를 삽입합니다. 대부분은 백내장 수술을 통해 젊을 때의 시력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백내장 수술의 한계점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인공수정체의 경우 노안, 난시 등을 교정할 수 없습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다초점, 난시 교정 인공수정체도 출시돼 쓰이고 있습니다.
또한 환자마다 눈에 꼭 맞는 도수의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려고 해도 어느 정도의 오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 우리가 키와 몸무게만으로는 몸에 꼭 맞는 기성복을 입을 수 없는 것처럼 눈의 길이가 일반적인 인구의 평균보다 더 길거나 짧은 경우, 혹은 각막에 난시가 있는 경우 등에는 오차가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실명 유발자, 당뇨망막병증과 황반변성
망막은 안구의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투명한 신경조직으로, 사람이 사물을 볼 수 있게 하는 결정적 역할을 하는 곳입니다. 우리나라 3대 실명질환 중 당뇨망막병증과 황반변성이 대표적인 망막질환에 속합니다.
당뇨망막병증은 당뇨의 합병증 중 하나로 당뇨 환자들이 병을 오래 앓다보면 높은 혈당으로 인해 눈 혈관이 망가지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당뇨망막병증은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환자가 질환이 심해질 때까지 이렇다 할 증세를 못 느낍니다. 이에 시력저하가 나타나 병원을 찾은 경우는 어느 정도 진행된 경우가 많습니다. 당뇨 인구가 늘어나면서 당뇨망막병증 환자도 증가세를 보입니다.
황반변성은 눈 안쪽 망막 중심부에 위치한 황반부에 변화가 생겨 시력 장애가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면서 여러 세포의 기능이 떨어져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가족력, 흡연 등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황반변성의 증상 역시 시력저하가 대표적이며, 습성의 경우 물체가 휘어져 보이거나, 암점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들 질환은 서구화 되는 생활습관은 물론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환자 수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눈 건강관리 1년 1회 정기검진으로~
눈은 보이기만 하면 된다는 생각 때문에 조금 이상이 생기거나 피로하더라도 ‘쉬면 되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으로 치료를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고 눈을 쉬게 놔두지도 않으면서 말입니다. 따라서 평소 눈 관리를 위해서는 연 1회 정기검진을 추천합니다.
실제 녹내장, 당뇨망막병증, 황반변성 등의 질환은 발생 초기에는 자각할 수 없어 병이 온 줄도 몰라 주의한다는 것 자체가 어려운 일이 많습니다. 눈에 대한 정기검진은 기본적으로 시력검사로 시력저하 여부를 검사한 뒤 녹내장 여부를 검사하는 안압검사와 안저검사 등을 통해 시신경과 망막에 이상이 있는지를 살펴보게 됩니다. 이 정도 검사만으로도 눈과 관련된 큰 병들이 있는지 알아낼 수 있습니다.
100세 시대, 평생 밝고 선명하게 세상을 보고 싶다면 정기검진은 필수입니다.
강승범 교수는 당뇨망막병증, 황반변성, 백내장, 망막박리 등을 전문으로 진료한다. 대한안과학회, 한국망막학회, 한국포도막학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