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를 얻고도 건강을 잃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정기구독 02-702-6333

[신년특별기획] 2019년에는… 소확행 건강습관 6가지 실천법

2019년 01월호 33p

【건강다이제스트 | 정유경 기자】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소확행’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시키며 우리 사회를 관통하는 트렌드가 되고 있다. 건강관리도 그랬으면 좋겠다. 너무 방대하고 어려워 금방 포기하는 습관보다는 작지만 확실히 좋은 습관부터 공략하는 것이다.

2019년 새해다. 어느 때보다 미뤄뒀던 건강습관을 실천하기 좋은 때다. 별거 아닌 것 같지만 지금부터 실천하면 건강에 두고두고 도움이 될 소확행 건강습관 6가지를 소개한다.?

PART 1. 매일 다크나이트로~ 어둡게 하고 자기

【도움말 |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주은연 교수】

우리는 빛을 좋아한다. 어둡고 칙칙한 공간은 어쩐지 싫다. 밝고 환한 공간에 끌린다. 밖이 조금만 어두워지면 재빨리 조명 스위치를 눌러 실내를 밝게 만든다. 뭐 여기까지는 괜찮다. 깜깜한 채로 생활할 수는 없으니까. 그런데 밝지 말아야 할 때 밝게 지내면 생각보다 큰 건강 문제를 불러온다. 특히 빛과 잠은 상극 중의 상극이다.

불을 켜고 잔 그 후…

세상에 잠을 안 자는 사람은 없다. 잠을 잘 자야 좋은 것을 모르는 사람도 없다. 그런데 나도 모르게 깊이 자는 것을 방해하는 사람이 많다. 빛을 제대로 다루지 못해서다. 흔한 예가 불을 환하게 켜고 자거나 TV를 보다가 끄지 않고 잠드는 것이다. 이럴 때는 아무리 오래 자도 잔 것 같지 않고 피로가 풀리지 않는다. 스마트폰을 오래 보거나 PC 작업을 오래 하고 자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난다. 왜 그럴까?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주은연 교수는 그 이유를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멜라토닌은 뇌 안의 송과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잠들기 쉽게 하고 잠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멜라토닌은 저녁시간, 대개 취침 2~3시간 전에 분비가 되어 수면 내내 높은 혈중 농도를 보이다가 새벽녘에 급속도로 떨어지는 양상이 반복된다.

멜라토닌은 빛에 매우 예민한 호르몬이다. 저녁시간에 빛 공해, 휴대전화 사용, 컴퓨터 작업 등으로 빛 자극에 많이 노출되면 멜라토닌이 분비되는 시간이 늦어져 쉽게 잠들지 못하고 분비량도 적어진다.

또한 빛 노출은 대뇌피질 회로망에 영향을 미쳐 잠의 질을 떨어뜨린다. 주은연 교수는 “삼성서울병원에서 실험한 한 연구에서 10명의 건강한 피험자에게 하룻밤은 잘 때 깜깜하게 하고 다른 날에는 머리맡에 미등을 켜고 자게 했는데 불을 켜 놓은 상태에서 각성지수가 높고 얕은 잠이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따라서 깊은 잠을 자고 싶다면 저녁 시간과 수면시간에 빛을 최대한 차단해야 한다.

불을 꺼도 밖에서 빛이 들어오면 암막 커튼이나 암막 블라인드를 이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침실에서 너무 밝은 조명을 사용하는 습관, 취침등·무드등을 켜고 자는 습관, 잠자리에서 시계나 휴대전화를 자주 보는 습관도 이제 정리하자.

잠을 우습게보면 생기는 일들

잠을 자면 우리 몸이 비활성화 상태로 바뀔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주은연 교수는 “잠을 자는 것은 중추신경계, 혈역학적, 호흡, 대사의 역동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활동적인 생리적 상태”라며 “잠은 회복, 에너지 보존, 기억, 면역, 감정 조절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조언한다. 그래서 잠을 못 자면 피곤하고, 졸리고, 집중력이 떨어지고, 감정의 기복이 심해지고, 식욕이 증가한다. 24시간 이상 자지 않으면 혈중 알코올 농도 0.1%와 같은 상태가 된다.

사람마다 필요한 수면 시간은 다르지만 성인은 평균 7~8시간, 어린이는 9~10시간이 필요하다. 아침에 일어나서 피곤하지 않고 낮 동안에 졸리지 않게 생활하는 수면시간이 개인에게 필요한 잠의 양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잠을 우습게 생각해서는 결코 건강을 유지할 수 없다. 빛을 차단하는 것과 더불어 깊은 잠을 유도하는 생활습관은 다음과 같다.

꿀잠 자는 좋은 습관 10가지

1. 매일 규칙적인 시간에 잠들고 일정한 시간에 일어난다.

2. 저녁에는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한다.

3. 잠자리에서는 잠만 자고 TV나 책을 보지 않는다.

4.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5.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나 음식은 피한다.

6. 조용한 환경에서 잠을 잔다.

7. 자기 전에 음주와 흡연은 피한다.

8. 잠이 오지 않거나 중간에 깨면 다른 일을 하다가 잠이 오면 잔다.

9. 과식하지 않는다.

10. 너무 덥거나 춥지 않게 실내 온도를 조절한다.

주은연 교수는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수면클리닉에서 수면질환을 전문으로 진료한다. 생체시간학 연구 등을 하고 있으며 대한수면연구학회 편집이사, 대한수면학회 정보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작권자 © 건강다이제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기사

  • [이승남의 건강제안] 2019년 새해에는… “꼭 필요한 비타민 챙기세요”

    2019년 01월호 10p

    【건강다이제스트 | 강남베스트의원 이승남 박사】 2019년 기해년(己亥年), 황금돼지띠의 해가 밝았습니다. 올해는 부자가 되는 아이가 태어나는 해라고 하는데, 모두 다 황금돼지의 운명을 타고 태어났을까요? 99% 노력하는 사람은 천재가 따라가지 못한다는 말이 있듯이, 본인의 노력이 없으면 절대 성공할 수가 없습니다. 건강도 마찬가지입니다. 운동도 하지 않고, 음식도 제 마음대로 먹고, 술·담배도 과하게 한다면 황금돼지해에 건강의 황금을 캐는 것이

  • [노성훈의 건강제안] 2019년 새해에는… “암 걱정 말고 행복하세요!”

    2019년 01월호 12p

    【건강다이제스트 | 연세대 의대 세브란스병원 연세암병원장 노성훈 교수】 한때 스트레스가 만병의 근원이라는 말이 유행했던 적이 있습니다. 특히 암 발생에 있어서 스트레스가 그 원인 중 하나인 것으로 많이 회자되었지만 아직까지 스트레스와 암 발생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밝혀내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암의 발생 원인에 관해서는 다양한 학설이 있고,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확률적인 무작위적 세포 유전자 변이가 암의 가장

  • [김동익의 건강제안] 2019년 새해에는… “100세 건강의 원년이 되길 기원합니다!”

    2019년 01월호 14p

    【건강다이제스트 | 삼성서울병원 혈관외과 김동익 교수】 100세까지 사는 것은 꿈이 아니라 이미 현실이 되었습니다. 이제 관심사는 얼마나 오래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건강하게 오래 사느냐입니다. 과거에는 문제가 되지 않았던 질병들이 평균 연령이 늘어나면서 새로운 이슈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성인병으로 알려진 고혈압, 당뇨병, 동맥경화증 등이 고령화 시대에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평균 연령이 60대이던 시절에는 성인병으로 인한 중증

  • [박민선의 건강제안] 2019년 새해에는… “규칙적으로 자연을 접해보세요”

    2019년 01월호 16p

    【건강다이제스트 |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민선 교수】 사람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크게 유전, 생활습관 및 환경요인을 들 수 있습니다. 이 중 20~30%는 유전, 60~70%는 생활습관, 나머지 10%는 환경요인에 의해 건강이 결정됩니다. 유전적인 요소는 개개인이 선택할 수 없으므로 결국 건강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두 가지는 생활습관과 외부의 환경요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흡연, 음주와 같이

  • [강재헌의 건강제안] 2019년 새해에는… “건강수명 늘리는 4가지… 꼭 실천하세요”

    2019년 01월호 18p

    【건강다이제스트 | 인제의대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강재헌 교수】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한 2030년 출생 한국 여성의 기대수명은 90세를 넘어섰으며, 한국 남성의 기대수명은 84세로 나타나 남녀 모두 세계 1위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기대수명이 길어지더라도 질병으로 고통 받는 기간이 동시에 길어진다면 별 의미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심리적·육체적 불편함이 없이 활동하며 살 수 있는 기간을 의미하는 건강수명을 늘리기 위해 2019년에 실천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