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다이제스트 | 염창환병원 염창환 박사】
혈당지수가 높은 음식일수록 염증에 의한 사망률 높인다
호주 시드니대학의 미첼 박사 등은 2735명을 대상으로 13년 동안 식이에 관련된 조사를 하였다. 그 기간 동안 170명이 염증질환으로 사망하였고, 암이나 심혈관질환으로 사망한 사람들은 제외하였다. 그 결과 혈당지수가 높은 음식을 섭취한 군에서 염증질환으로 사망한 경우가 3배나 높았다. 이들 사망원인은 감염, 호흡기질환, 신경계질환, 소화기질환, 근골격계 질환이었다.
(Buyken AE, Flood V, Empson M, Rochtchina E, Barclay AW, Brand-Miller J, Mitchell P. Carbohydrate nutrition and inflammatory disease mortality in older adults. Am J Clin Nutr. 2010 Sep;92(3):634-43.)
크랜베리가 남자의 배뇨통을 감소시킨다
팔랙키대학의 비들라 박사 등은 전립샘질환으로 배뇨통을 호소하는 42명을 대상으로 크랜베리 효과를 조사하였다. 대상자들은 PSA가 상승한 것 이외에는 암이나 감염 증상은 없었다. 치료군은 크랜베리 1500 mg을 6개월 동안 매일 복용시켰다. 그 결과 치료군의 배뇨통도 좋아지고, PSA 수치도 떨어졌다.
(Vidlar A, Vostalova J, Ulrichova J, Student V, Stejskal D, Reichenbach R, Vrbkova J, Ruzicka F, Simanek V. The effectiveness of dried cranberries (Vaccinium macrocarpon) in men with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Br J Nutr. 2010;104(8):1181-9.)
감귤과 녹차가 암 발생을 감소시킨다
토호쿠대학의 리 박사 등은 40-79세 사이의 성인 4만 2470명을 대상으로 감귤 소모와 암 발생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7년 동안 추적 관찰하였다. 그 결과 감귤을 매일 섭취하는 사람들의 경우 암 발생률이 11% 감소했고, 여자보다 남자에서 더욱더 효과적이었다. 특히 췌장암이나 전립샘암의 경우는 1/3로 줄어들었다. 또한 녹차와 함께 복용한 경우 암 발생 감소 효과가 더욱더 증가하였다.
(Li WQ, Kuriya ma S, Li Q, Nagai M, Hozawa A, Nishino Y, Tsuji I. Citrus consumption and cancer incidence: the Ohsaki cohort study. Int J Cancer. 2010 Oct 15;127(8):1913-22)
오메가-3, 10대 청소년의 우울증 감소시킨다
일본 교토대학의 우라가미 박사 등은 10대 6517명을 대상으로 생선 섭취와 우울증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우울증의 빈도는 남학생은 22.5%, 여학생은 31.2%를 차지하였다. 남학생은 생선 섭취가 많은 경우 우울증 빈도가 감소한 반면 여학생은 차이가 없었다. 특히 EPA 섭취가 많은 학생에서 우울증 빈도가 감소한 반면 DHA 섭취가 많은 학생은 차이가 없었다.
(Murakami K, Miyake Y, Sasaki S, Tanaka K, Arakawa M. Fish and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 intake and depressive symptoms: Ryukyus Child Health Study. Pediatrics. 2010;126(3):e623-30)
과당은 암 성장을 자극한다
캘리포니아 대학의 류 박사 등은 과당이 췌장암 세포의 성장을 자극한다고 보고하였다. 암세포는 과당을 대사하여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왔다. 그들은 음식 속에 포함된 과당이 암환자에게 주된 문제로서 과당의 섭취를 줄이거나 과당과 관련된 생화학 반응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Liu H, Huang D, McArthur DL, Boros LG, Nissen N, Heaney AP. Fructose induces transketolase flux to promote pancreatic cancer growth. Cancer Res. 2010;70(15):636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