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를 얻고도 건강을 잃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정기구독 02-702-6333

[신승철의 치아시크릿] 분유 먹고 자란 아이 충치 발생률 30%

2016년 02월 건강다이제스트 축복호

【건강다이제스트 | 신승철 ( 대한구강보건협회장, 단국치대 교수)】

427758

달고 고소한 분유의 덫

어릴 때 엄마 젖 먹던 기억이 날는지 모르겠다. 엄마 젖 맛을 기억하는가? 사람들은 엄마 젖 맛을 잘 기억하지 못한다. 그래서 결혼 후 아기가 생기면 호기심에서 한 모금 얻어먹어 보는 남편들도 있단다.

그런데 한 번 모유의 맛을 본 남편들은 대개는 다시는 먹고 싶지 않다고 말한다. 무슨 맛이라서 그럴까? 몇 사람 의견을 종합해 보면 대개는 비릿한 맛이란다. 정말 젖비린내이다. 그런데 하느님은 아기를 이 세상에 태어나게 보내면서 바로 그 비릿한 모유를 먹고 자라게끔 만들어 놓았던 것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모유 수유율은 매우 낮다. 반 이상의 산모들이 분유로 아기를 키우거나 모유와 섞어서 먹인다. 모유가 아기의 건강에 좋다는 것은 세상 사람들이 다 알고 있고, 또한 모유를 먹여야 한다는 의무감도 역시 산모들이 다 갖고 있다. 특히 아기가 처음 먹는 초유는 반드시 모유를 먹여야 면역도 기르고 필요한 영양소가 잘 갖추게 된다는 것도 모든 산모들이 다 안다.

그러나 현실을 이야기하며 우리는 모유를 기피하고 마는 것이다. 현실이란 엄마 젖이 잘 안 나오거나 산모가 큰 병에 걸려서 그런 것이 아니다. 모유를 먹일 환경이나 분위기가 안 되어있거나 분유의 편리성 때문이다. 또 산모의 몸매 관리도 한몫을 차지한단다. 엄마의 예쁜 몸매를 위해서 아기가 양보하도록 강요한 것이다.
그러면 모유와 분유의 차이는 무엇일까? 일단 분유를 타 먹어보면 맛이 달고 고소하다. 남편들도 아무런 거부감 없이 잘 먹을 수 있다. 왜 달고 고소할까?

바로 설탕과 지방을 많이 넣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는 치아 건강에 치명적이다. 아기들의 앞니에 충치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모유로 자란 아이들과 분유로 자란 아이들의 앞니에 충치 발생률은 확연히 다르다. 분유를 먹는 아기들의 앞니, 주로 위 앞니에 분유가루가 묻어있으면 그 속에 설탕 성분을 먹기 위해 구강 내 충치 세균들이 와 몰려든다. 그리고는 열심히 아기가 먹다 남은 설탕 성분을 세균들이 먹는다. 먹었으니 대사활동인 소화를 시키고 방귀를 뀐다. 그 결과 입에서 구린내가 나게 되고, 우리는 이것을 입 냄새라 한다. 세균들은 또 소변도 보는데 그게 바로 산 즉 식초 한 방울이다.

눈에 안 보이는 쪼그만 세균이 오줌을 누어봤자 얼마이겠나 싶지만, 수천만 마리의 충치균들이 지속적으로 식초를 뿜어내면 치아의 해당 부위는 항상 산으로 젖어 있게 된다. 이렇게 산 때문에 치아 표면이 부식되고 녹는 현상을 우리는 충치라고 말한다.

결국 분유를 먹이면 아기들의 위 앞니에, 주로 치아 사이 부위에 충치가 잘 발생된다. 분유 먹고 자란 아이들 약 30%에서 앞니 젖니에 충치가 발생되어 있음을 본다. 확률적으로 매우 높은 편이다.

그러나 모유 수유 시는 주로 단백질이기에 충치균이 먹고 살 음식이 아니라서 충치 발생이 훨씬 덜하다.

그렇다면 분유회사에서 모유랑 성분과 맛이 거의 같도록 설탕도 넣지 말고 젖비린내 나게 만들면 될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하게 된다.

과거에 어느 분유회사에서 그 점에 착안하여 모유랑 거의 동일 성분에 맛도 같도록 만들어 모유 친화적인 신제품을 내놓은 적도 있었다. 선풍적인 인기를 끌 줄 알았으나 결과적으로 안 팔렸다. 한 번 맛을 본 엄마들이 다시는 안 산 것이다. 맛이 없어서였다. 우리 아기 맛있게 잘 먹어야 할 텐데 하는 바람으로 결국 또 설탕 잔뜩 든 분유를 선택하였던 것이다. 만약 아기들 보고 “네가 먹고 싶은 것을 고르라.”고 한다면 당연히 그 비린내 나고 찝질한 모유 맛의 분유를 골랐을 것이나, 불행히도 아기는 선택권도 없고 돈도 없다. 다만 엄마의 취향에 따라 설탕과 지방이 잔뜩 든 분유를 먹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580927

충치부터 부정교합까지 유발~

분유 먹는 것이 충치 발생 외에도 가끔은 아래윗니가 잘 맞지 아니한 부정교합을 유발하기도 한다. 아기들이 모유를 먹을 때 걸리는 시간을 측정해보자. 한 번 식사량을 먹을 때 대략 7~8분 정도 걸린다.

그러나 분유를 젖병에 넣어서 아기가 혼자 굴러가며 빨아 먹을 때는 3~5분밖에 안 걸린다. 아기에게도 욕구 불만이라는 정신적·원초적 본능이 있다. 본래 아기가 모유를 빨 때 한 번 식사량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좀 걸린다. 그만큼 엄마 젖 빨기가 힘들다는 말이다.

아기들의 볼살이 볼록하게 발달되어 있는 것도 젖을 힘있게 빨기 위해서이다. 그래야만 한 번의 식사량을 다 채우고 정신적인 안도감을 느낄 수 있다.

606790

그런데 분유병을 주면 너무나 쉽게 빨린다. 별로 힘 안 들여도 줄줄 입안으로 들어온다. 한 번 실험을 해보라. 분유병에 분유를 타서 거꾸로 들어보라. 분유가 방울방울 심지어는 줄줄 새는 것을 본다.

그러나 산모가 젖이 많다고 해서 다닐 때 젖이 줄줄 새는 사람을 본 적이 있는가? 이렇게 빠는 힘과 젖 먹는 시간이 다르니까 분유 먹은 아기는 너무 일찍 다 먹고 무언가 허전함을 느끼게 된다. 그래서 엄마 젖 대신 엄지손가락을 빨기 시작한다.

엄지손가락 빠는 습관(Thumb sucking)이 있다 해서 다 위험한 것은 아니다. 다만 만 6세가 되면 젖니가 빠지고 영구치가 나오게 되는데 그 나이가 되도록 엄지손가락을 빠는 아이들은 위험하다. 나중에 앞니를 다물면 안 다물어지고 앞니가 뻥 뚫어져 있음을 본다. 이 경우에는 엄청 비용이 들어도 반드시 치열 교정치료를 해주어야 한다. 결국은 분유 수유로부터 시작된 비극일 수밖에 없다.

이 세계에서 젖소가 많아 분유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국가는 뉴질랜드이다. 그런데 뉴질랜드 엄마들은 90% 이상의 거의 대다수가 모유 수유를 한다. 분유 수유는 특별히 산모의 젖이 잘 안 나오거나 산모가 질병으로 모유 수유가 곤란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필수적으로 모유 수유를 한다. 그러면 그 많은 분유를 생산해서 뭣 하려고 하나? 외국에 수출하려고 한단다. 모유 수유의 여건이 잘 안 된다는 핑계로 분유 수유를 선호하는 한국으로 가장 많이 수출된다고 한다.

신승철 프로필

<저작권자 © 건강다이제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기사

  • [신승철의 치아시크릿] 당뇨·고혈압 일으키는 주범? 치주병 막는 잇몸 튼튼하게~ 관리법

    2017년 12월 건강다이제스트 감사호 114p

    【건강다이제스트 |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신승철 교수 (대한구강보건협회장)】 왜 잇몸병을 풍치라고 하는가? 치아에 바람이 들었다고 나온 말 같다. 무에 바람이 들어 푸석해지고 습기가 많아지면 못 먹는다. 그런 의미로 잇몸에 병이 생긴 것을 치아에 바람이 들었다고 표현하는 것 같다. 그러니 바람 든 치아, 즉 풍치라고 말한다. 정확히는 치아 주위의 질병, 즉 치주병이다. 그 치주 조직의 하나가 치은이라고

  • [신승철의 치아시크릿] 이닦기는 언제부터 했을까?

    2017년 09월 건강다이제스트 열매호 108p

    【건강다이제스트 | 신승철 교수 (대한구강보건협회장, 단국대 치대 교수)】 이를 안 닦는다면? 옛날에도 이를 닦았을까? 닦았다면 어떤 칫솔과 치약으로 어떤 방법으로 닦았을까? 옛날에는 대다수 사람들이 이를 닦지 않았다. 이를 계속 안 닦으면 구강 내가 너무나 불결해지고 입 냄새도 역겨울 정도로 심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꼭 그렇지는 않다. 우리가 하루 이를 닦지 않으면 구강 내가 평소보다 불결해지고

  • [신승철의 치아시크릿] 감쪽같은 크라운 오래 사용설명서

    2017년 08월 건강다이제스트 숲향기호 114p

    【건강다이제스트 | 신승철 교수 (대한구강보건협회장, 단국대 치대 교수)】 왕들이 쓰는 왕관을 영어로 크라운(crown)이라고 한다. 그런데 치과에서는 크라운이라면 인공으로 만든 치아의 관, 즉 인공치관을 말한다. 인공치관을 해 넣은 것을 옆에서 보면 마치 치아가 금관으로 된 왕관을 만들어 쓰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면 인공치관은 왜 씌우게 되는가? 가장 많은 경우에서 씌워야 하는 이유는 충치가 심하거나 치아가

  • [신승철의 치아시크릿] 왜 학교치과진료실 불씨는 꺼졌을까?

    2017년 06월 건강다이제스트 푸름호 108p

    【건강다이제스트 | 신승철 교수 (대한구강보건협회장, 단국대 치대 교수)】 뉴질랜드의 기적 1923년 뉴질랜드에서는 치과계에 새로운 제도가 하나 생겼다. 학교치과 간호사(School Dental Nurse)라는 치과 인력이 만들어진 것이다. 알려진 바대로 충치나 치주병 같은 대다수를 차지하는 구강병은 대개 널리 퍼져 있으며, 그 진행이 느린 만성이고, 또한 누진적이라서 절대로 저절로 낫는 법이 없다. 아무리 잘 치료해도 흔적을 남기는 돌이킬 수

  • [신승철의 치아시크릿] 신경치료는 언제 하나?

    2017년 05월 건강다이제스트 상큼호

    【건강다이제스트 | 신승철 교수 (대한구강보건협회장, 단국대 치대 교수)】 번번이 기회를 놓치면 신경치료 이가 아프면 정말 못 참는다. 증세에 따라서는 짜릿하게 아픈 경우도 있고, 욱신욱신 쑤시기도 한다. 우리가 아픔을 느끼는 것은 치아나 치아 주위에 신경이 있기 때문이다. 신경에는 신경세포와 많은 결절들이 거미줄처럼 서로 연결되어 있어 어느 한 부분 말단에 자극을 받으면 전기를 타듯이 그 자극이 뇌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