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를 얻고도 건강을 잃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정기구독 02-702-6333

  • [웰빙라이프] 지친 뇌 되살리는 제대로 ‘멍’ 때리기

    2016년 08월 건강다이제스트 휴식호

    【건강다이제스트 | 김선영 기자】 【도움말 | 성균관대 의대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신동원 교수】 이른 바 ‘멍 때리기’가 떠오르고 있다.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기란 의학적으로 가능할까, 불가능할까? 혹은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는 척 하기는? 멍 때리기가 유행을 타는 현상은 현대인들의 지치고 상처 입은 마음을 치유하기 위한 자구책에 다름 아니다. 이 기류를 타고 2014년부터 매해 멍 때리기 대회도 개최되고 있다.

  • [건강리포트] 열의 두 얼굴! 약이 되는 열 VS 독이 되는 열

    2016년 08월 건강다이제스트 휴식호

    【건강다이제스트 | 정유경 기자】 더운 여름철, 식사 메뉴를 정할 때 흔히 두 부류로 나뉜다. ‘이열치열(以熱治熱)’파와 ‘이열치냉(以熱治冷)’파다. 뜨거운 국물을 후루룩 마시며 땀을 흠뻑 흘리면 더위가 물러간다는 사람도 있고, 더울 때는 시원한 곳에서 차가운 음식을 먹는 것이 최고라는 사람도 있다. 이쯤에서 궁금해지는 한 가지. 여름 더위 즉, 여름철의 외부 열은 꼭 물리쳐야만 하는 대상일까? 유명한 아이스크림 이름처럼

  • [건강리포트] 독이 되는 열 – 한낮의 불청객 ‘열사병’

    2016년 08월 건강다이제스트 휴식호 104p

    【건강다이제스트 | 정유경 기자】 【도움말 |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서민석 교수】 너무 더운 환경은 독! 뉴스에서 살인적인 불볕더위 소식과 항상 붙어 다니는 소식이 있다. 누군가가 열사병으로 숨졌다는 소식이다. 더운 날씨를 넘어 뜨거운 날씨가 되면 열 관련 질환이 많이 발생한다. 여름철에 주로 생기는 열 관련 질환은 열경련, 열실신, 열탈진(열피로), 열사병이 있다. 이 중 열사병은 우리 몸에 치명적이다.

  • [신승철의 치아시크릿] 6월 9일은 구강의 날

    2016년 08월 건강다이제스트 휴식호

    【건강다이제스트 | 신승철 교수 (대한구강보건협회장, 단국대 치대 교수) 】 올 6월 9일부터는 정부가 지정한 법적 구강보건의 날이 되었다. 지난 70여 년 동안 치과계에서 6월 9일을 구강보건의 날로 여기고 대 국민 캠페인과 치과대학생 체육대회도 해 왔는데 지난해에 구강보건법 제4조 제2항에 매년 6월 9일을 구강보건의 날로 정함을 명시한 것이 국회를 통과함으로써 이제 치과계뿐만 아니라 국가 행사로 치르게

  • [머슬잭의 트리플맥스 운동법] <캡틴 아메리카>의 크리스 에반스처럼 근육질 몸매로 변신법

    2016년 08월 건강다이제스트 휴식호

    【건강다이제스트 | 숀리바디스쿨 머슬잭 트레이너】 올 여름도 어김없이 캡틴 아메리카가 개봉하면서 주연을 맡은 크리스 에반스의 몸매를 부러워하는 남성들이 많아졌다. 하지만 부러워만 하면 평생 캡틴 아메리카 그림자도 못 밟을 것이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열심히 운동하여 올 여름 한국의 캡틴 아메리카가 되어보자! 3앵글 덤벨 컬 이두근은 두 갈래근이라고 하여 외측과 내측으로 나누어진다. 우람하고 단단한 이두근을 만들기 위해선

  • [가공식품의 비밀] 달콤함 속의 검은 그림자, 아이스크림에 숨어 있는 불편한 진실

    2016년 08월 건강다이제스트 휴식호

    【건강다이제스트?| 건강칼럼니스트 문종환】 아이스크림 창업자의 비극 찜통더위에서 달콤한 아이스크림은 가뭄 속의 단비나 오아시스와 같다. 날도 점점 더워지고 아이스크림을 찾는 빈도도 늘어날 것임에 틀림없다. 아이스크림에 대한 이해도가 조금만 있더라도 아이스크림을 입에 달고 사는 일은 없게 될 것이다. 우리는 늘 건강을 입에 달고 살면서도 건강을 위해서 하는 행위는 별로 없다. 즉 노력을 하지 않는다는 게다. 알고 대처하는

  • [심층분석] 신해철법 무엇을 우려하는가?

    2016년 08월 건강다이제스트 휴식호

    【건강다이제스트 | 건강칼럼니스트 문종환】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약칭: 의료분쟁조정법으로 신해철법이라고도 함)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상반되는 이해당사자, 즉 의료소비자와 의료인은 각자의 입장에서 찬성과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 목소리는 자신들의 이익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한 것일 것이다. 그러나 의료행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가치가 무엇인가를 재고해 보는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 양날의 칼로

  • 행운을 부르는 2016년 8월 건강 운세

    양력 2016년 8월 1일 ~ 2016년 8월 31일

    쥐띠(子) : 상사의 지원으로 발전하는 때이니 매사에 적극성을 띠는 것이 좋다 48년생 경제력이 나아짐에 따라 이성친구도 좋아지니 적극적으로 나아가라. 60년생 바쁘면 바쁠수록 금전적으로 좋아지고 신체건강도 강건해진다. 72년생 일의 확장이나 진로상 변화는 나쁘니 하지 말고 기반을 튼튼히 하라. 84년생 이동은 가급적 하지 말고 애정전선도 이상이 생기니 분발이 요구된다. 길일 6일, 18일, 26일 흉일 4일, 16일, 28일

  • [신승철의 치아시크릿] 치과에서 에이즈 검사를?

    2016년 07월 건강다이제스트 바람호 146p

    【건강다이제스트 | 신승철 교수 (대한구강보건협회장, 단국대 치대 교수) 】 에이즈(AIDS, 후천성면역결핍증)가 무서운 질병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오래 전에 중앙아프리카에서 시작했다는 설이 있기도 한데 아직까지 확실하고 뚜렷한 치료법이 없다는 점에서 공포의 질병이기도 했다. 그런데 일반 사람들은 인간면역결핍증 바이러스에 감염된 자인 HIV 환자와 무엇이 다른지 구분을 잘 못하기도 한다. 에이즈는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다. 한 번의 감염

  • [건강리포트] 담배 끊기 생각보다 쉽다… 실패율 줄인 금연 성공법

    2016년 07월 건강다이제스트 바람호 106p

    【건강다이제스트 | 김선영 기자】 【도움말 | 국립암센터 암예방검진센터 서홍관 교수】 담배 피운 지 올해로 20년이 된 39세 김영훈 씨. 담배가 몸에 해롭다는 건 누구보다 잘 안다. 1월 1일이 돌아올 때마다 금연을 결심한다. 보건소 금연클리닉에도 몇 번이나 제 발로 찾아갔다. 앞에 가족들을 앉혀두고 가위로 담배를 자르는 화려한 퍼포먼스도 벌였다. 부모님을 걸고 아내를 걸며 이번만은 성공하리라 다짐하길

  • [건강테라피] 성장·면역력·근육까지… 팔방영양소 단백질 날마다 잘 먹는 5계명

    2016년 07월 건강다이제스트 바람호 114p

    【건강다이제스트 | 정유경 기자 】 【도움말 | 가천대학교 길병원 가정의학과 고기동 교수】 요즘 모든 것이 ‘오해’로부터 시작된 케이블 드라마가 인기다. 그래서 제목도 <또 오해영>이다. 우리 몸의 필수영양소 중 단백질도 또 오해받는 것이 익숙하다. ‘단백질을 먹어야 다음날 힘을 쓴다’, ‘근육을 늘리려면 단백질 보충제를 많이 먹어야 한다’ 등 단백질을 둘러싼 오해가 꼬리에 꼬리를 문다. 이쯤 되면 단백질

  • [머슬잭의 트리플맥스 운동법] 게으름뱅이도 하는 LAZY 코어 운동

    2016년 07월 건강다이제스트 바람호 132p

    【건강다이제스트 | 숀리바디스쿨 머슬잭 트레이너】 게으른 당신을 위한 집에서 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 게으른 코어 운동 방법. 아무리 게으르다 해도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할 수 있으니 언제 어디서든 효과를 볼 수 있다. 플랭크 트라이엥글 트라이셉 익스텐션 복부를 집중적으로 자극하고 코어 근육을 사용하며 상체의 미는 근육을 발달시켜 삼두근 주변의 탄력을 증가시킨다.   1. 바닥에 엎드린 상태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