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를 얻고도 건강을 잃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정기구독 02-702-6333

  • [건강365일] 갈치, 고등어도 못 먹어? 다이옥신 재앙 지혜로운 대처법

    2013년 11월 건강다이제스트 결실호

    【건강다이제스트 | 건강칼럼니스트 문종환】 사람이 만든 합성화합물 중 가장 위험한 것으로 알려진 다이옥신. 인체 축적의 90%가 음식물을 통해 유입된다고 한다. 지금까지 연구결과 수산물을 통해 유입될 가능성이 70% 이상인 것을 감안하면 수산물은 방사능 오염과 함께 다이옥신도 큰 문제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방사능 오염에 따른 수산물의 판매 저하, 설상가상으로 다이옥신 문제까지 더해진 수산물을 먹어야 할까, 말아야

  • [헬스라이프] 툭하면 외식~ 건강식이 되려면…

    2013년 11월 건강다이제스트 결실호 148p

    【건강다이제스트 | 이은혜 기자】 【도움말 |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박현아 교수】 이영돈 PD가 진행하는 채널A의 <먹거리 X파일>은 시청자들의 열광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프로다. 건강한 먹거리, 안전한 먹거리를 탐사 보도해 주기 때문이다. 좋은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는 착한 식당, 착한 사람들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이 프로에 소개된 음식점은 하루아침에 대박이 난다. 너도나도 먹어보자 찾아드는 발길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 [건강테라피] 너도나도 스마트폰 중독에서 탈출법

    2013년 11월 건강다이제스트 결실호 74p

    【건강다이제스트 | 정유경 기자】 【도움말 | 강남을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재원 교수】 요즘은 어딜 가도 스마트폰을 꺼내 든 사람을 흔하게 볼 수 있다. 유행이라는 말로는 부족하다. 초유의 대유행이 따로 없다. 식당에 가도, 대중교통을 타도, 길거리를 걸어도, 회사에서도 언제나 스마트폰 화면에 손가락을 올려 톡톡 두드리는 장면은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으로 통화하는 사람보다 스마트폰 화면을 톡톡 두드리며 글자를

  • [특별기획] 2. 알코올 중독 악연의 고리를 끊으려면…

    2013년 11월 건강다이제스트 결실호 112p

    【건강다이제스트 | 이은혜 기자】 【도움말 | 다사랑중앙병원 우보라 원장】 알코올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해 고군분투 해온 두 사람의 사연을 취재하면서 궁금했다. 정말로 알코올 중독이 그리도 무서운 사슬일까? 그래서 알아봤다. 알코올 중독, 그 끈질긴 악연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노하우를 소개한다. PART 1. 알코올 중독자가 되면… 즐거워서 한 잔, 슬퍼서 한 잔, 힘겨워서 한 잔, 스트레스가 심해서

  • [특별기획] 1. 알코올 중독에서 탈출한 2인방의 체험기

    2013년 11월 건강다이제스트 결실호 104p

    【건강다이제스트 | 이은혜 기자】 술술 잘 넘어가는 술. 그래서 누구나 좋아하는 술. 술맛에 취해, 분위기에 휩쓸려 한 잔 두 잔 술잔을 기울이는 우리들이다. 하지만 알고 보면 너무도 무서운 것이 술의 덫이다. 한 번 빠지면 좀체 빠져나오기 힘든 사슬 알코올 중독. 그 지옥 같은 굴레를 끊고 새로운 삶을 되찾은 2인방의 알코올 중독 탈출기를 소개한다. CASE 1.

  • [건강정보] 60가지 채소·과일 중 항산화력 ‘최고’ 슈퍼베리 아로니아 10가지 효능

    2013년 11월 건강다이제스트 결실호 78p

    【건강다이제스트 | 건강칼럼니스트 김경성】 아로니아 연구의 세계적인 석학 폴란드 바르샤바의과대학의 교수인 이봐나 바버(Iwona Wawer) 교수가 한국을 방문했다. 바버 박사는 아로니아 베리를 연구하고, 알리는 데 삶 대부분을 보냈다. 바버 박사는 녹차, 아로니아 및 다이어트 영양보조제에 관한 책을 비롯해 약 160여 편이 넘는 과학 논문의 저자이기도 하다. 그녀는 폴란드 바르샤바의과대학의 교수로 물리화학 및 약학과의 수석 책임자이며, 폴란드

  • [강창환의 건강정보] 신이 준 최고의 먹거리 발아현미 유명세… 왜?

    2013년 11월 건강다이제스트 결실호 76p

    【건강다이제스트 | 발아현미연구가 강창환】 최근 선진국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건강 캠페인 ‘자연식 먹기’의 핵심은 바로 ‘도정하지 않은 곡물 많이 먹기’다. 쌀의 경우 현미와 발아현미, 각종 잡곡 등이 여기에 해당되고, 밀은 통밀가루로 만든 식품이 이에 해당될 것이다. 이는 최근 강조되고 있는 일물전체식(一物全體食) 이론과도 일맥상통한다. 식품을 섭취할 때 잎, 뿌리, 줄기, 껍질을 함께 섭취하면 균형 잡힌 영양섭취를

  • [민형기의 건강요리] 가을을 여는 약선요리 4선

    2013년 10월 건강다이제스트 풍성호

    【건강다이제스트 | 자연식운동가 민형기 원장】 한때 저는 깊은 좌절에 빠진 적이 있었습니다. 승승장구하던 사업이 어려움을 겪으며 몸도 마음도 깊은 상처를 입었습니다. 재기를 도모하기 전 저는 무엇보다 그동안 방치해온 제 몸부터 돌보기로 하였습니다. 육식과 음주로 지치고 망가지고 독이 가득한 몸을 정화시켜 나가기 시작했습니다. 장기간의 단식과 보식을 하면서 제 몸에 참 많이 미안해했습니다. 너무 홀대하고 살았기 때문입니다.

  • [건강리포트] 내 몸 면역력 내 마음 면역력 쑥쑥~ 올리는 법

    2013년 10월 건강다이제스트 풍성호

    【건강다이제스트 | 정유경 기자】 【도움말 | CHA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가정의학과 김영상 교수】 【도움말 | 좋은클리닉 유은정 원장】 영화 <보디가드>를 기억하는가? 벌써 개봉한 지 20년도 넘었다. 한때 우리는 ‘앤다~~이아~’ 배경음악을 들으며 가수 휘트니 휴스턴을 지켜내던 보디가드 캐빈 코스트너의 멋진 모습에 열광했었다. 우리 몸과 마음에도 이런 보디가드가 있다. 바로 면역력이다. 면역력은 한시도 놀지 않고 몸의 병과 마음의 병으로부터

  • [공부의 신 프로젝트] 명문대 합격의 비밀 ‘뇌가 좋아하는 음식을 먹어라’

    2013년 10월 건강다이제스트 풍성호 156p

    【건강다이제스트 | 전서현 기자】 【도움말 | 밸런스브레인 변기원 대표원장】 【도움말 | 명덕외국어고등학교 졸업생 이혜린 외 99명】 창의성과 지성을 갖춘 글로벌 리더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 현재 대한민국의 사교육비는 총 19조이다. 통계청이 표본 조사를 거쳐 추정한 것으로 지난해보다 감소했다고는 하지만 역시 만만치 않은 비용이다. 이명박 정부 시절부터 취임 당시 사교육비를 절반으로 줄이겠다고 했으나 결국 수포로 돌아간 경험이

  • [강창환의 건강정보] 식사혁명의 효시를 연 <맥거번 리포트>의 핵심, 발아현미 주목하자!

    2013년 10월 건강다이제스트 풍성호 76p

    【건강다이제스트 | 발아현미연구가 강창환】 우리 옛말에 “병도 치료도 밥상으로부터 나온다.”는 말이 있다. 또 “세 끼 밥이 보약”이라는 식보(食補)사상이 우리의 식문화 속에 있었다. 미국상원영양문제특별위원회(맥거번위원회)가 천문학적인 돈을 들여 2년간 조사한 후 1977년에 발표한 ‘맥거번 보고서(맥거번 리포트)’는 오늘날까지도 식품의 경전(經典) 또는 식경(食經)이라 불릴 정도로 전 세계적인 파문을 일으킨 식사 관련 보고서이다. 맥거번 보고서는 5000페이지나 되는 방대한 내용이지만 그

  • [건강정보] 성기능장애 개선제 천연 허브 트리블러스 세계가 ‘반하다’

    2013년 10월 건강다이제스트 풍성호 74p

    【건강다이제스트 | 이은혜 기자】 남성 갱년기 개선제로, 성기능 개선제로, 면역시스템 강화제로 그 기능성을 인정받고 있는 천연 허브 트리블러스. 국내에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던 이 약초의 놀라운 기능성이 본지에 소개되면서 그 후폭풍은 뜨거웠다. “늘 피곤하고 쉽게 지치는 데도 좋나요?” “성욕이 저하되고 발기부전으로 고민 중인데 정말 효과가 있나요?” 숱한 질문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면서 높은 관심도를 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