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를 얻고도 건강을 잃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정기구독 02-702-6333

  • [건강정보] 허리통증 함부로 수술하지 말자!

    2014년 11월 건강다이제스트 감사호 23p

    【건강다이제스트 | 최민영 기자】 지긋지긋한 허리통증이 있는 사람들은 대개 다리 통증도 함께 호소한다. 처음에는 허리만 아팠는데 언제부턴가 허리에서 다리까지가 당기듯이 아파서 걷기조차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견디다 못해 병원에 찾아가면 MRI부터 찍자고 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보는 순간 당사자는 아찔해진다. 이리저리 삐져나온 듯한 신경과 무너져 주저앉은 듯한 척추들. 난리도 그런 난리가 없다. 의사로부터 수술해야 한다는 말을 들으면

  • [만성병을 이기자] 이제는 ‘당테크’시대! 평생 혈당 관리법

    2014년 11월 건강다이제스트 감사호 48p

    【건강다이제스트 | 박길자?기자】 【도움말 |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당뇨병센터장 차봉수 교수】 올해 마흔일곱 살인 박지연 씨는 얼마 전 당뇨병 환자인 친구를 만난 후 불안에 시달리다 내과를 찾았다. 친구는 박 씨와 체형이 비슷하다. 키 155cm, 몸무게는 60kg으로 배가 불룩 튀어나온 사과형 비만이다. 고혈압, 고지혈증을 앓는 박 씨는 겁이 덜컥 나서 병원을 찾았다가 공복혈당 120 진단을 받았다. 영락없이

  • [건강 회복 프로젝트] 내 마음에 맺힌 화 훌훌~ 털어내기

    2014년 11월 건강다이제스트 감사호 52p

    【건강다이제스트 | 이기옥 기자】 【도움말 | 강동경희대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김종우 교수】 새해가 엊그제만 같은데 벌써 연말이 성큼성큼 다가오고 있다. 얼마 남지 않은 올해를 아쉬워하며 한 해를 되돌아보면, 연말이면 늘 따라붙는, “다사다난한 한 해였다.”는 말이 유난히 가슴에 와 닿는 2014년이다. ‘불경기’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살 정도로 경기침체는 계속됐고, 전 국민의 가슴을 쓸어내리게 한 크고 작은 사건·사고도 잦았다.

  • [최명기의 행복테라피] 무엇이 우리를 우울하게 만드는가?

    2014년 11월 건강다이제스트 감사호 58p

    【건강다이제스트 | 청담하버드심리센터 최명기 원장】 안톤 슈나크의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이라는 글은 기성세대라면 모두 다 한 번씩 접해봤을 것이다. 1953년부터 국어교과서에 실렸던 글이기 때문이다. 내가 학교 다닐 때도 교과서에 실렸었다. 교과서에 실린 글이라는 것이 대부분 지겨웠지만 이 글은 달랐다. 글을 읽으면서 세상에는 가지가지 슬픔이 존재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얼마 전 우연히 인터넷에서 이 글을 읽다가

  • [정신건강] 혹시 나도 강박증? 벗어나는 기술

    2014년 11월 건강다이제스트 감사호 98p

    【건강다이제스트 | 박길자 기자】 【도움말 | 한림대 춘천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노대영 교수】 최근 종영한 인기드라마 <괜찮아 사랑이야>에서 남자 주인공 조인성은 강박증을 앓는 추리소설가로 등장한다. 그의 강박 증세는 몇몇 색깔에 집착하고, 침대에서 잠을 못 자고 화장실 욕조에 누워야 편히 잔다는 것이다. 조인성은 아동기에 어머니와 재혼한 의붓아버지의 가정폭력에 시달린다. 어느 날 의붓아버지의 폭력을 겪던 조인성은 칼을 집어든다. 이때

  • [알아봅시다] 좋은 기름 vs 나쁜 기름 제대로 알고 먹는 법

    2014년 11월 건강다이제스트 감사호 110p

    【건강다이제스트 | 이기옥 기자】 【도움말 | 인제대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박현아 교수】 식용유라고 하면 콩기름뿐이었던 시절이 있었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포도씨유, 올리브유, 카놀라유 등 그 효능을 앞세운 다양한 기름이 우리의 음식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우리가 먹는 음식이 바로 건강에 직결된다는 의식이 높아지면서 식용유 하나에도 건강을 생각하게 된 것이다. 100세 시대를 대비해야 한다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행복한 삶의 바탕이

  • [푸드테리피] 혈당을 정상으로~ 다이어트에도~ 노화방지에도~ 콩비지의 재발견

    2014년 11월 건강다이제스트 감사호 114p

    【건강다이제스트 | 이은혜 기자】 옛말에 “싼 게 비지떡”이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이것은 뭘 모르고 하는 말이다. 두부를 만들 때 콩물을 짜고 남은 찌꺼기인 콩비지는 알고 보면 영양만점 건강식이라 할 수 있다. 왜? 지금부터 무한대의 영양 가치를 지닌 콩비지의 놀라운 효능 속으로 따라가보자. 다이어트에도 노화 방지에도~ 콩비지 콩비지하면 못 살던 시절의 향수 음식으로 여기는 사람이 많다.

  • [쟁점속으로] MSG 논쟁 더 이상 하지 말자고?

    2014년 11월 건강다이제스트 감사호 117p

    【건강다이제스트 | 건강칼럼니스트 문종환】 MSG의 유해성 논란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이 논란은 MSG가 개발돼 대중들에게 인기를 얻으면서부터 시작돼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세계 각국의 MSG에 대한 결론은 “인체에 무해하다.”이다. 그럼 접근 방법을 다르게 해보면 어떨까? MSG 자체의 인체 유·무해를 떠나 또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 여러분의 선택은? MSG 유해성 논란보다 더 두려운 것

  • [머슬잭의 트리플맥스 운동법] 반듯한 허리로~ 번듯한 몸매로~ 뒤태·옆구리살 쏙~ 삼단 콤보 허리운동법

    2014년 11월 건강다이제스트 감사호 126p

    【건강다이제스트 | ?머슬잭 트레이너】 장소 가리지 않고 어디서든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느라, 온종일 책상 앞에 앉아 모니터를 쳐다보느라, 본방사수하려고 TV를 마주 보느라 하루 대부분을 구부정한 자세로 보내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이것저것 찾아 ‘보느라’ 정신 없는 삶 속에서 하루하루 굽어만 가는 허리를 그냥 보고만 있어야 할까? 그래서 준비했다! 허리를 똑바로 세워줄 스마트한 허리운동법을. 먼저 척추기립근을 자극해 구부정한 허리를

  • [민형기의 건강요리] 열은 생명을 살리는 에너지~ 내 몸을 살리는 맛있는 열음식 4선

    2014년 11월 건강다이제스트 감사호 134p

    【건강다이제스트 | 자연식운동가? 민형기 원장】 열이 나고 염증이 생기는 것은 면역체계가 살아있다는 좋은 신호이다. 염증반응은 백혈구가 질병과 싸운 결과물이고 이때 항체가 열을 만들어 낸다.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그리고 암세포는 열에 약하기 때문이다. 통증은 몸이 항체의 일종인 인터페론을 만드는 과정이다. 재채기나 콧물은 독소와 병균을 밖으로 내보내려는 몸의 치유 현상이다. 열이나 염증은 위험한 것이 아니라 몸이 필요해서 만들어

  • [닥터클리닉] 젊은 뇌졸중 급증세! 도대체 왜?

    2014년 11월 건강다이제스트 감사호 138p

    【건강다이제스트 | 이기옥 기자】 【도움말 | 명지성모병원 허춘웅 원장】 뇌의 혈관이 터지거나(뇌출혈) 막혀서(뇌경색) 뇌가 손상되고 이로써 반신마비나 언어장애 등이 평생 남는 뇌졸중은 단일질환으로는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는 질환이다. 60~70대에 발병하는 노인병으로 사망 또는 심한 신체장애를 남기는 질환이기에 30~40대 중장년층부터 제발 이 병만은 피해가기를 열망한다. 하지만 젊은 30~40대도 더 이상 뇌졸중의 안전지대는 아닌 듯싶다. 뇌졸중이 젊어지고 있기

  • [건강주치의] 가릴 것 많은 신장병일 때 잘 먹고 사는 법

    2014년 11월 건강다이제스트 감사호 142p

    【건강다이제스트 | 이기옥 기자】 【도움말 | 울산대 서울아산병원 신장내과 김순배 교수】 【도움말 | 강동경희대한방병원 한방내과 고석재 교수】 신장병은 완치하기 어려운 병 중 하나로 여겨진다. 신장병은 또한 그 종류도 다양해서 그에 따른 치료법도 다양하다. 아직 완치를 위한 특별한 치료법도, 예방법도 없기에 자연치유력에 기대고 식이요법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지만, 워낙 다양한 신장병의 종류에 따라 식이요법도 천차만별이다. 워낙 다양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