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를 얻고도 건강을 잃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정기구독 02-702-6333

  • [명의의 건강제안] 날마다 피곤할 때 해법은… “규칙적인 생활은 최고의 피로 회복제”

    2015년 09월 건강다이제스트 가을호 13p

    【건강다이제스트 | 인제대 의대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강재헌 교수】 요즈음 아무리 쉬어도 피로가 회복되지 않는다고 하소연하는 분들이 많다. 실제로 걱정스런 통계도 발표돼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경우 10세 이상 국민 중 81.3%가 피곤하다고 답할 정도다. 그야말로 피로사회인 셈이다. 이러한 피로를 일으키는 원인은 수없이 많다. 과로, 수면 부족, 임신 등의 생리적 원인이 피로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어떤 분들은

  • [명의의 건강제안] 날마다 피곤할 때 해법은… “절도있는 생활·적절한 운동은 피로 해결사”

    2015년 09월 건강다이제스트 가을호 12p

    【건강다이제스트 | 신촌세브란스병원 연세암병원장 노성훈 교수】 피곤함은 불규칙한 생활, 과로와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며, 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생활 ▶적당한 운동 ▶긍정적인 사고가 큰 도움이 된다.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야근과 주말 근무 등 쉴 틈 없이 일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바쁜 생활 속에서도 아침을 거르지 않으면서 하루 세끼의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수면시간을 규칙적으로 유지하는

  • [건강주치의] 젊은 치매 물리치는 좋은 습관 총공개

    2015년 09월 건강다이제스트 가을호 64p

    【건강다이제스트 |이기옥 기자】 【도움말 | 고려대 의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민수 교수】 노인성 질환으로 여겨지던 치매. 하지만 더는 치매를 나이 들면 생기는 병으로 여겨선 안 될 것 같다. 40대 치매 환자가 2005년 678명에서 2013년 1034명으로 약 1.5배 증가(국민건강보험공단)했고, 50대 치매 걸린 딸을 돌보는 70대 어머니의 사연은 놀라움과 함께 젊은 치매에 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60대 이하의

  • [김형일의 건강칼럼] 체중결핍이 가는 길은 치매와 암

    2015년 09월 건강다이제스트 가을호 70p

    【건강다이제스트 | 서울메디칼랩 김형일 의학박사】 신경성식욕부진증은 주로 젊은 여성에게 나타나지만 요즘에는 남자들에게서도 흔하다. 정상적인 생리현상 중단은 말할 것도 없고, 빈혈이 심해지고, 심장고동이 흐려지고, 한기를 느끼게 되며, 환각 증상에 빠지다가 결국은 죽게 된다. 세계적인 장수마을이나 우리나라 장수촌의 백세인들은 대부분 넉넉한 체중을 갖고 있다. 특별한 병명도 없이 지내다가 치매에 걸리거나 단명하는 사람들은 거의 다 체중이 부족한 경우다.

  • [강창환의 건강정보] 면역력을 높이는 발아현미 식사

    2015년 09월 건강다이제스트 가을호 74p

    【건강다이제스트 | 발아현미연구가 강창환】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가 진정 국면에 들어서자 이번엔 사망률과 감염률이 더 높은 홍콩독감(인플루엔자) 주의보가 발령돼 긴장 상태가 계속될 조짐이다. 따라서 메르스 때와 마찬가지로 개인의 면역력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전염병이 유행하는 요즘에 면역력을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식생활 개선부터 시작하는 것이 첫걸음이다. 이런 까닭에 주식 등의 식재료로 발아현미만큼 면역력에 좋은 식품도 드물다.

  • [알아봅시다] 국민 영양제 빅5 효능에서 한계 사이

    2015년 09월 건강다이제스트 가을호 94p

    【건강다이제스트 | 이기옥 기자】 【도움말 | 차움 푸드테라피센터 이기호 교수】 비타민 C, 오메가3, 철분, 칼슘, 마그네슘, 루테인 등등. 팔팔 백세를 대비하는 현대인이라면 적어도 하루 한 알의 영양제 복용은 필수라고 여긴다. 건강에 관심이 커질수록 영양제의 개수도 하나둘씩 늘어난다. 한 예능 프로에서 모 배우는 몸에 좋은 영양제는 거의 다 챙겨 먹는다며 열 알 정도 되는 영양제를 한꺼번에

  • [푸드테라피] 요즘 대세! 치아 씨드 vs 퀴노아 막상막하 효능 대결

    2015년 09월 건강다이제스트 가을호 100p

    【건강다이제스트 | 이기옥 기자】 【도움말 | 숭의여대 식품영양과 차윤환 교수】 슈퍼푸드의 신흥강자로 떠오른 ‘치아 씨드’ 미래의 식량난을 해결할 곡물로도 꼽히는 ‘퀴노아’ 다이어트는 물론 만성질환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면서 이름은 물론 맛과 모양도 낯선 이들 남미 곡물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치아 씨드와 퀴노아의 건강상 이점과 우리 식단에서의 활용법을 알아보았다. 치아 씨드·퀴노아 열풍, 왜? 현대인의 건강을

  • [웰빙라이프] 희망의 밥상 풀 밥상을 차리자

    2015년 06월 건강다이제스트 가을호 104p

    【건강다이제스트 | 건강칼럼니스트 문종환】 지워지지 않는 비극, 아니 지울 수 없는 어두운 미래가 우리 앞에 놓여 있다. 적어도 먹을거리에 관한 한 그렇다. 농장은 없어지고 공장만 남고 있다. 동물농장이 아니라 동물공장이며, 식물농장이 아니라 식물공장이 되어 간다. 그렇게 먹을거리는 획일화되어 가고 있으며, 또한 영양학적 가치가 현저히 떨어지는 저질화가 가속되고 있다. 죽음으로 가는 밥상을 멈추게 할 수 있는

  • [가공식품의 비밀] 국민식품 어묵과 맛살의 배신

    2015년 09월 건강다이제스트 가을호 108p

    【건강다이제스트 | 건강칼럼니스트 문종환】 모든 가공식품에는 첨가물이 필수적으로 들어간다. 종류에 따라 덜 들어가고 더 들어가고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어묵은 특히 첨가물이 많이 들어가는 가공식품 중의 하나다. 국민식품으로 불릴 정도로 대중화된 어묵과 대부분의 김밥에 들어가는 맛살의 문제점과 대책을 알아보자. 김밥을 맛있게~ 어묵과 맛살 김밥!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편하게 한 끼를 해결해주는 식품으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 [건강리포트] 변비에서 탈출하는 쾌변의 기술

    2015년 09월 건강다이제스트 가을호 116p

    【건강다이제스트 | 백나래 기자】 【도움말 | 고려대 의대 안암병원 대장항문외과 김선한 교수】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해야만 하는 그것, 제대로 하지 못하면 때로는 불편하고 때로는 배가 너무 아파 뒹굴기까지 하게 만드는 그것, 바로 변비다. 여자뿐만 아니라 남자도 ‘몸짱’을 원하는 시대에 변비로 볼록한 아랫배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쾌변이 영원한 숙원이다. 숙원이 현실이 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 당신도 혹시? 로큰롤

  • [닥터클리닉] 얼굴에 불청객 비립종 & 한관종… 왜?

    2015년 09월 건강다이제스트 가을호 138p

    【건강다이제스트 |이기옥 기자】 【도움말 | 차의과학대 분당차병원 피부과 이희정 교수】 섹시 아이콘인 톱 여가수가 밝혔던 피부 고민! 어느 날 불쑥 얼굴을 점령하는 피부 복병! 오돌토돌 솟아올라 얼굴이 울퉁불퉁해 보이고, 화장으로 잘 가려지지도 않는 그것! 바로 ‘비립종’과 ‘한관종’이다. 여드름인 줄 알고 짜내다가 오히려 눈이 더 띄는 흉터를 만들기도 하는 비립종과 한관종. 피부 불청객 비립종과 한관종 관리

  • [헬스라이프] 트러블메이커 ‘갑상선’ 건강하게 사수법

    2015년 09월 건강다이제스트 가을호 142p

    【건강다이제스트 | 백나래 기자】 【도움말 | 연세대 의대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신동엽 교수 】 갑상선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기관이므로 어떤 이상이 생겨 삶이 엉망이 될 때까지도 눈치채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기본적인 기능과 중요성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예방을 위한 습관과 함께 초기 발견 후 대처가 가능하다면 평생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그렇다면 갑상선 기능을